다이옥신 배출허용기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약칭: 자원재활용법 시행규칙 )
제20조의10(고형연료제품 수입자ㆍ제조자 및 사용자의 준수사항) ① 법 제25조의9제1항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별표 10에 따른 고형연료제품 수입자ㆍ제조자 및 사용자의 준수사항을 말한다.
② 법 제25조의9제2항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다이옥신 배출허용기준"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준을 말한다. <개정 2019. 12. 20.>
1.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의 처리능력이 시간당 2톤 이상인 경우: 0.1ng-TEQ(독성 등가치)/S㎥ 이하
2.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의 처리능력이 시간당 2톤 미만인 경우: 5ng-TEQ/S㎥ 이하
[본조신설 2014. 7. 22.]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2020. 5. 27.] [법률 제16611호, 2019. 11. 26., 일부개정]
제25조의9(고형연료제품 수입자ㆍ제조자 및 사용자의 준수사항) ② 고형연료제품 사용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다이옥신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국가법령정보센터 | 변경조문
다이옥신
다이옥신은 산소 2개를 포함하는 불포화 육원자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말한다. IUPAC 체계명에서는 모체를 다이옥신(dioxine)이라고 하여 어미에 –e가 붙는다. 통상명에서는 어미 –e를 생략하고 있다. 이와 달리 포화된 해당 고리는 다이옥세인(dioxane)이다.
오염 물질로서의 잘 알려진 다이옥신의 기본 골격은 벤젠 고리 2개가 1,4-다이옥신의 각각의 2중 결합에 접합한 화합물인 다이벤조[b, e][1, 4]다이옥신이며 각 벤젠 고리에 염소 원자들을 여러 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이옥신은 다염화 다이벤조다이옥신(PCDD)이라고 부르며 대표적인 화합물은 2,3,7,8-테트라클로로다이벤조다이옥신(TCDD)이다. 다이옥신은 분해가 잘 안되는 환경 오염물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POP)이며 사이안화 포타슘(KCN)보다 독성이 약 500배 크고, 인체 내 반감기가 7~12년이나 되는 위험 물질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이옥신 [dioxine] (화학백과)
검사수수료
검사수수료 |
|||||
검사시료 |
검사항목 |
처리기간(일) |
시료소요량 |
수수료(원) |
민원서식 |
배출가스 |
다이옥신 |
30 |
현장시료채취 |
5,000,500 |
신청서 |
토양 |
다이옥신 |
30 |
500g |
2,568,500 |
신청서 |
검사절차
: 접수(민원인 연구원 방문 및 수수료 납부) -> 배출가스 시료채취(연구원 직원현장방문 시료채취) -> 분석(시료전처리 등 30일 소요) -> 성적서 발송(민원인)
자가측정대행업소 |
||||
시군명 |
기관명 |
전화번호 |
소재지 |
비고 |
서울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02-860-1690 |
서울 구로구 구로3동 222-13번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분석센터 |
민간기관 |
경북 |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
054-279-6717 |
경북 포항시 남구 효자동 산32번지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그린환경연구본부 |
민간기관 |
서울 |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02-570-3204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02-3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개발팀 |
지방자치단체 |
경기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031-250-2641~3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324-1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기획팀 |
지방자치단체 |
경북 |
포항공과대학교 환경연구소 |
054-279-8321 |
경북 포항시 남구 효자동 산31번지 포항공과대학교 환경연구소 |
민간기관 |
경기 |
㈜랩프런티어 |
031-460-9121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2동 899-6번지 영린빌딩 4층 |
민간기관 |
경기 |
㈜디케이사이언스 |
031-742-5456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133-1 금강하이테크밸리 1차 709호 |
민간기관 |
부산 |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051-309-2951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 4동 1276-1 부산보건환경연구원 산업환경과 |
지방자치단체 |
부산 |
기인첨단환경기술㈜ |
051-727-3105 |
부산광역시기장군장안읍임랑리203-4 |
민간기관 |
대구 |
㈜이앤비테크 |
053-614-3628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간경리 839-3 |
민간기관 |
인천 |
환경관리공단 |
032-590-4801 |
인천 서구 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 |
공공기관 |
담당부서 : 대기화학팀(031-250-2612~2616), 환경연구기획팀(031-250-2641~2645)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https://www.gg.go.kr/gg_health/gg_health-dioxin
'환경 > 대기환경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차 대기환경개선종합계획(2016~2025) (8) | 2020.06.03 |
---|---|
항력 계수 (4) | 2020.06.02 |
대기중 수은의 환경학적 특성 (대기관리기술사 105회) (2) | 2020.05.28 |
대기환경규제지역 폐지 (2) | 2020.05.27 |
'고형연료제품(SRF)' 품질등급제 시행된다 (6) | 2020.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