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231

통합대기환경지수(CAI) 통합대기환경지수(CAI, Comprehensive air -quality index) 대기오염도 측정치를 국민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대기오염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지침을 국민에게 제시하기 위하여 대기오염도에 따른 인체 영향 및 체감오염도를 고려하여 개발된 대기오염도 표현방식 지수 산출방법 6개 대기오염물질별로 통합대기환경지수 점수를 산정하고 이중 가장 높은 점수를 통합 지수값으로 사용 산출된 각각의 오염물질별 지수점수가 '약간나쁨' 이상의 등급이 2개 물질 이상일 경우 통합지수값에 가산점을 부여 1개일 경우 점수가 가장 높은 지수점수를 통합지수로 사용 2개일 경우 가장 높은 점수가 나온 오염물질을 영향 오염 물질로 표시하고 그 오염물질의 점수에 50점 가산 3개일 경우 가장 높은 점수가 .. 2020. 6. 9.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대기오염 제어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대기오염 제어, 대기관리기술사 110회 - 이산화탄소 포집(CCS) - 가스분리, 증류 [공유] 이산화탄소와 이온성액체간 상호작용 미국 연구진이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한 계산화학(computational chemistry)적 기법을 이용한 연구 결과를 내놓음으로써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발전에 큰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에너지 생산 단계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안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하에 매립하거나 이산화탄소를 합성연료 등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방안이 해결책으로 제.. 2020. 6. 8.
부피농도와 질량농도의 비교 (대기관리기술사 111회 1교시) 부피농도와 질량농도의 비교(대기관리기술사 111회 1교시) -단위용액의 부피에 대한 용질의 부피, 질량 -부피농도 : 혼합액 부피 ≠ 혼합 전 액체부피의 합, 온도에 따라 용질의 부피변화 발생, 농도변화 용질(V) / 용액(V) = ml/l - 질량농도 : 온도에 따른 용질의 질량 변화 없음 용질(wt) / 용액(V) = g/l 농도의 단위 적용 분야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농도가 사용된다. (1) 질량 백분율(wt%): 용액의 질량에 대한 용질의 질량 퍼센트 (특정 용질의 질량) / (전체 용액의 질량) x 100(%) 가장 보편적인 농도 단위이다. (2) 부피 백분율(vol%): 용액의 부피에 대한 용질의 부피 퍼센트 (특정 용질의 부피) / (전체 용액의 부피) x 100(%) 액체인 물.. 2020. 6. 7.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주요 내용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주요 내용 ▷ 2030년 배출량을 5억 3,600만 톤으로 낮추기 위한 BAU(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목표 중 국내 감축량을 25.7%에서 32.5%로 상향 조정 ▷ 배출권거래제 적용 업체들의 2018~2020년 배출허용총량을 17억 7,713만 톤으로 확정 (감축목표) 2030년 온실가스 감축후 배출량 536백만톤(BAU 대비 37%) □ (계획기간) 2018∼2030년 □ (배출전망) 기존 감축로드맵 배출전망치인 2030년 850.8백만톤 적용 * 다만, 최근 배출추세, GDP 전망 등을 고려하여 부문별로 일부 배출전망 조정 □ (목표) 감축후 배출량을 536.0백만톤 이내로 유지(BAU 대비 37%, ‘15년 대비 22.3% 감축.. 2020.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