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023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2022-2023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생물다양성연구부 국가철새연구센터
최유성, 김화정, 최한이, 김지연, 이지연, 오미래,
심유진, 남형규, 김동원, 황재웅, 허위행, 박진영
2022-2023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Choi, Yu-Seong, Hwa-Jung Kim, Han-I Choi, Ji-Yeon Kim,
Ji-Yeon Lee, Mi-Rae Oh, Yoojin Sim, Hyung-Kyu Nam,
Dong-Won Kim, Jae-Woong Hwang, Wee-Haeng Hur, Jin Young Park
National Migratory Birds Center
Biodiversit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3
Ⅰ. 서 론
한국은 지리적으로 철새의 이동경로상 중요한 위치에 있어 철새들의 번식지, 월동지,
중간기착지로서 매우 중요한 국가이다. 또한 강, 하구, 호수, 갯벌 등 다양한 환경의 습지
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다양한 물새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큰고
니, 호사비오리,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등 다양한 멸종위기
종과 희귀종이 도래하고 있다. 그 외 가창오리 등 전 세계 월동 최대 수를 기록하는 종도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서 종과 서식지 보전을 위해 한국의 습지
보호와 철새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만일 철새와 습지가 보호되지 않는다면
전체 이동경로의 철새집단이 감소하고 일부 종은 멸종의 기로에 놓이게 될 것이다.
조류는 다른 생물 종보다 사람과 가까이에서 살면서 관찰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연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환경의 지표종으로 여겨왔다. 조류는 생태계 먹이사슬의 상위
에 위치하며, 조류를 통해 얻은 정보는 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이용해 왔
다. 따라서 조류는 우리의 환경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변화를 알려줄
수 있는 지표종으로서 높은 가치를 갖고 있다. 조류는 습지의 가치를 나타내는 뛰어난 지
표생물로서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많은 철새들이 찾아온다는 것은 먹이와 안식처를 제
공하는 습지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의 람사르습지 중
90%가 물새를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습지들 중 85%는 선정기준 중 대표적 또는 독
특한 습지, 식물 또는 동물에게 중요한 습지의 기준에도 동시에 해당되는 습지였다. 습지
에 도래하는 철새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면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다른 생물들도 함께
보호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습지의 다양성과 건
강성은 궁극적으로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건강한 환경의 근원이 될 것이다.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겨울철 국내의 습지에 도래하는 철새 현황을 파악하여 철
새와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1999년부터 1월부터 시작하여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사지역이 1999년에는 주요 철새도래지 69개소에 불과하였지만 이
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4-2015년 겨울철 조사에서는 200개 지역으로 조사범위가 확
대되었다. 또한 2014년 국내에 여러 차례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에 대응
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월동하는 물새의 분포와 변화상 파악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14-2015년 겨울철부터 2회 조사(12월, 1월)를 시행하였다. 이후 추가로 확대하여 2021
년 겨울철부터 4회(11월, 12월, 1월, 2월) 조사되었다.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결과는 국내에서 월동하는 물새의 지역별 분포와 변동, 종별 개
체수 변동 및 멸종위기종의 도래현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
로도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철새집단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중요성이
매우 크다. 또한 한국에서 월동하는 물새의 정확한 현황을 알리고, 서식지와 종에 대한
보호 계획과 정책수립에 기여할 자료가 될 것이다.
Ⅱ. 조사 지역 및 조사 방법
조사는 2022년 11월 11-13일, 12월 9-11일, 2023년 1월 13-15일, 2월 17-19일 4회에 걸
쳐 겨울철새가 많이 도래하는 주요 철새도래지를 비롯하여 해안, 호수, 저수지, 평야지대
등 전국 200개 지역에 대해서 11월 93개 팀 201명, 12월 92개 팀 196명, 1월 94개 팀 205
명, 2월 93개 팀 202명의 조사원이 동시에 조사를 실시하였다(그림 Ⅱ-1, 표 Ⅱ-1).
조사팀은 2인 1조를 기본으로 구성하였고, 조사지역에서 장기간 조사를 수행한 지역 전
문가를 최대한 포함하였다. 차량, 선박(낙동강하구, 유부도) 및 도보로 조사지역을 이동하
면서 조사대상 습지의 수면과 배후 습지, 인접한 농경지에서 관찰되는 조류의 종과 개체
수를 기록하였다. 조사대상 조류는 물새를 중심으로 조사하되, 맹금류를 비롯한 산림조류
까지 관찰되는 모든 종을 포함하였다. 관찰 장비는 쌍안경과 망원경을 이용하였으며, 기
상 조건이 나쁘거나 거리가 멀어 동정이 불가능할 경우 정확한 종명을 표기하지 않고 부
류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예; 기러기류, 오리류, 고니류, 갈매기류 등). 이렇게 부류로 기
록할 경우 관찰종수에는 포함하지 않았으나 개체수에는 포함하였다. 조사 시 인접 조사지
역과 상호 긴밀한 연락을 유지하면서 조류의 이동방향 및 도착장소 등을 확인하여 개체
수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였다.
Ⅲ. 조사 결과
조사 결과는 전체 200개 조사 지역별로 2022년 11월, 12월과 2023년 1월, 2월의 조류 현황을 순서대로
제시하였다.
1. 철원평야 (Cheorwon Basin)
철원평야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11월에 70종 32,196개체, 12월에 63종 39.248개체, 1월에 55종
21,143개체, 2월에 59종 28,153개체이었다. 이 지역에서 확인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조류는 황
새, 흰꼬리수리, 참수리, 검독수리, 느시, 두루미 6종, Ⅱ급 조류는 큰기러기, 흰이마기러기, 큰고니,
매, 물수리, 솔개, 독수리, 잿빛개구리매, 새매, 참매, 큰말똥가리, 흰죽지수리, 시베리아흰두루미,
재두루미, 검은목두루미, 흑두루미 16종이었다.
Ⅳ. 종합 및 고찰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겨울에 전국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물새를 중심으로 조류
의 종과 개체수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이다. 1999년부터 철새의 국지적 이동이 적은 매년
1월 또는 2월 초에 전국의 주요 습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4〜2015년 겨울부터 고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응을 위해 전국 물새의 분포 현황 파악의 필요성이 높아져
12월에도 실시하였으며, 2022〜2023년 겨울에는 11월부터 2월까지 전국 200개 지역에 대
해 동시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전체 종수 및 개체수
2022〜2023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2022년 11월은 전체 211종 1,613,709개체,
12월은 전체 195종 1,814,099개체, 2023년 1월은 전체 190종 1,689,317개체, 2월은 184종
1,528,667개체의 조류가 확인되었다(표 Ⅳ-1). 2022년 12월에는 2022년 11월에 비하여 개
체수는 200,390개체(12.4%) 증가하였고, 종수는 16종 감소하였고, 2023년 1월은 2022년 12
월에 비하여 개체수는 124,782개체(-6.8%) 감소하였고, 종수는 5종 감소하였고, 2023년 2
월은 2023년 1월에 비하여 개체수는 160,650개체(-9.5%) 감소하였고, 종수는 6종 감소하
였다.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1999년 이래로 조사지역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
기 때문에, 전체 종수와 개체수의 연간 변화상을 직접 비교하기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연도별 전국에서 확인된 개체수는 1999년 이후 증가하였으며 2009년에 1,944,065개체로
최대 개체수가 관찰된 이후 다소 감소하였으나, 2012년 이후 최근 10년간 개체수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Ⅳ-1).
출처:
댓글